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디바이스 모니터링 시스템
Loading...
Loading...
Loading...
누비슨 IoT는 IoT 서비스의 개설, 디바이스의 IoT 연결, 장소 관리, 사용자 관리 등의 IoT서비스에 꼭 필요한 시스템을 한 곳에서 관리하고 사용자의 브랜드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라우드 기반의 IoT 서비스 플랫폼 입니다.
또 다양한 IoT 응용 확장기능을 제공하여 당신의 IoT 기반 서비스를 매우 빠르고 쉽게 완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사물을 연결 가능한 높은 확장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매우 효과적이고 빠르게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NUBISON IoT 클라우드 소개
누비슨 IoT는 다양한 디바이스를 연동할 수 있는 개방형 IoT 플랫폼 입니다.
IoT 디바이스와 서버 간 MQTT(S), HTTP(S), TCP/IP, LoRa, NB-IoT 등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IoT를 지원하지 않는 Serial, Bluetooth, Z-Wave, Zigbee 등의 로컬 디바이스도 PC, Gateway, IoT HUB 등의 장치 를 통해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누비슨 IoT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확장기능을 통해 디바이스를 모니터링을 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비지니스 최적화를 위한 디바이스 Firmware SDK 및 ReSTful API를 제공하여 사용자 정의의 디바이스와 모바일 앱, 그리고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합니다.
📘 NUBISON IoT 이용하기
📘 NUBISON IoT 이용하기 > 📖 가입 및 로그인
로그인 메인 페이지 에서 ‘회원 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ID(알파벳 소문자 및 숫자 6자 이상), 사용자 이름(기업 명 또는 사용자 명), 비밀번호(알파벳, 숫자, 특수 문자 조합 8자리 이상), e-mail, 연락처를 입력합니다.
이 때 아이디와 이메일 항목에 대해 각각 자동으로 중복 확인을 하며 각 항목의 아래 부분에 중복 확인 결과 메세지가 표출 됩니다.
만일 입력된 정보와 중복된 다른 사용자가 있을 경우 중복되지 않는 다른 정보로 입력을 하셔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회원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 서비스 이용 약관을 확인 후 약관 동의 체크 박스에 체크를 하셔야 회원 가입 버튼이 활성화 됩니다.
회원 가입 버튼이 활성화 되면 회원 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신청이 완료되면 위 그림과 같이 신청 완료 화면이 표시되고 입력하신 이메일 주소로 인증 확인을 위한 이메일이 발송됩니다.
입력하신 이메일에서 누비슨 IoT 가입 인증을 완료해 주셔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메일에 포함된 인증 만료 기간 안에 인증을 완료 하셔야 회원 가입이 완료가 되며 인증만 기간 경과 시 가입 신청을 하셨던 정보는 자동으로 삭제되며 이 때에는 새로 회원 가입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인증 메일에 포함된 인증하기 버튼 또는 하단의 URL 링크를 통해 인증 완료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이메일 인증 만료 기간은 가입 일시로부터 30일 이내 입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서비스 목록
서비스 하위에 서비스 사용자가 있는 경우 서비스 삭제를 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 관리 화면에서 사용자를 삭제 하거나 서비스 사용자가 직접 탈퇴를 하여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가 없을 때 서비스 삭제가 가능합니다.
서비스 삭제 시에는 서비스에 연결된 모든 정보(디바이스, 타임 라인, 위, 사용량 데이터, 수집 된 데이터 등)가 삭제되고 영구적으로 복구 할 수 없으므로 신중히 처리 해주시기 바랍니다.
서비스를 삭제하시려면 서비스 항목의 우측 상단의 휴지통 아이콘 버튼을 클릭합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서비스 삭제 알림 팝업이 나타납니다.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서비스가 삭제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알람
등록된 디바이스에 알림이 발생 하면 화면 우측 상단에 알림 팝업이 나타납니다.
우측 상단에 나타난 알림 팝업을 클릭 합니다.
알림 팝업을 클릭하면 화면 우측에서 알람 리스트가 나타납니다.
알람 리스트가 노출되어 있을 시에는 신규 미확인 알림이 오더라도 알림 팝업이 노출 되지 않습니다.
알람 상단에 각각 해당하는 알람을 클릭하면, 정상 단계 / 주의 단계 / 위험 단계 에 해당하는 알람을 따로 조회 할 수 있습니다.
알람 리스트에서 각각 알람을 클릭하면 알람의 상세 정보(서비스/위치/디바이스/유닛/알람 내용)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단의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알람 상세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 NUBISON IoT 클라우드 소개
다음은 누비슨 IoT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누비슨 IoT를 사용 하시려면 먼저 서비스를 개설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IoT 서비스 관리를 위해 설정한 모든 정보는 개설한 서비스에 종속됩니다.
서비스는 복수 개의 등록이 가능하며 서비스 간 데이터는 공유되지 않습니다.
서비스에는 디바이스, 타임라인, 장소, 서비스 사용자, 권한, IoT 확장기능 정보가 포함되며 이 정보들은 서비스 안에 종속됩니다.
각 서비스는 고유의 Service URL, App Key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정보를 통해 IoT 서비스를 운영 할 수 있습니다.
제품 모델이란 누비슨 IoT에 연결을 하기 위해 구성되어진 하드웨어의 기종을 의미하며, 제품 모델 정보는 그 기종의 속성(제품 명, 모델 명, 통신 프로토콜, 제품 설명 정보와 수행하는 기능 등)을 사전 정의하여 제품의 IoT 데이터 정보를 해석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제품 모델은 크게 두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제품이 인터넷에 바로 접속하여 누비슨 IoT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요청을 처리 할 수 있는 방식을 지원하는 제품의 유형을 의미합니다.
제품이 IoT Device를 통해 누비슨 IoT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요청을 처리 할 수 있는 방식을 지원하는 제품의 유형을 의미합니다.
디바이스는 누비슨 IoT에 연결되는 각각의 장치를 뜻합니다.
누비슨 IoT 클라우드에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키를 의미합니다.
디바이스에 물리적으로 탑재 또는 연결되어있는 센서 또는 동작기에서 발생되는 정보 요소를 지칭합니다.
누비슨 IoT 클라우드에 연결되어진 디바이스에서 유닛을 식별하는 번호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PLC일 경우 유닛 번호는 PLC의 메모리 번지수와 동일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바이스가 누비슨 IoT SDK로 구성된 디바이스의 경우 디바이스에서 보내는 데이터 페이로드 구간에서 이 유닛에 해당되는 데이터 인덱스를 유닛 번호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이 배열에서 첫 번째 항목은 유닛 번호가 0번이며 이후로 1 씩 증가하도록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이 유닛이 동작하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유닛 유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 됩니다.
조회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발생 시켜 그 값을 가지고 있으며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유형
제어
디바이스가 외부로부터 명령을 받아 어떠한 동작을 실행하거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유형
서비스의 자세한 정보는 페이지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제품 모델의 자세한 정보는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서비스 관리 > 📖 서비스 설정
화면 우측의 서비스 정보 영역에서는 서비스 기본 정보(서비스 이름, 서비스 중심지, 타임존, 대표 이미지, 서비스 개요) 수정 및 서비스 CODE, 서비스 URL 확인이 가능합니다.
서비스 설정 페이지에서 서비스 CODE 옆에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서비스 CODE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서비스 CODE 복사 메시지 나타나며 서비스 CODE가 복사 완료 됩니다.
서비스 설정 페이지에서 서비스 URL 옆에 버튼을 클릭 합니다.
서비스 URL 복사 버튼을 클릭하면 서비스 URL 복사 완료 메시지가 나타나며 서비스 URL가 복사 완료 됩니다.
서비스 홈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이 서비스 전용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 가능합니다.
서비스 브랜드 설정에서는 서비스 로고, 브랜드 컬러, 서비스 로그인 화면의 스타일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로고 설정
서비스 로고 컨텐츠 박(컬러 로고, 화이트 로고) 안에 업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서비스 로고를 등록합니다.서비스 로고 등록 시 배경이 투명한 png파일을 권장합니다.
🏷서비스 브랜드 컬러
이 영역에서는 서비스의 브랜드 컬러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브랜드 컬러 우측에 해시코드, 또는 RGB값을 입력하거나 컬러 피커를 이용하여 브랜드 컬러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로그인 스타일을 선택합니다. 누비슨 IoT는 총 4가지의 로그인 스타일 디자인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이 화면에서는 서비스에 필요한 확장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확장 기능 항목의 우측 하단에 사용 / 미사용 스위치를 클릭하여 확장 패키지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패키지 구성 : 대시보드 메이커, 데이터 뷰 시스템, 광역 모니터링 시스템(WAMS), 콜드체인 시스템,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FMS), 디바이스 모니터링 시스템(DMS), A/S 이력 관리 시스템, A.I 모니터링 시스템(AIMS), A.I 학습 빌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등
설정이 모두 완료되면 상단 우측의 '서비스 정보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서비스 관리 수정 내용을 저장 완료 합니다.
서비스 코드에 대한 설명은 을 확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화면에서 및 을 통해 이 서비스에 사용 설정된 IoT 확장패키지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서비스 관리
📘 NUBISON IoT 기능 설명
📘 NUBISON IoT 이용하기
📘 NUBISON IoT 기능 설명 > 📖서비스 현황 > 📖 서비스 현황 조회
알람 유형별 미확인 알람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험, 주의, 정보)
유형별 알람을 클릭하면 우측에서 알람 사이드바가 나타납니다.
서비스 추가 팝업에서 서비스 이름, 서비스 중심지, 서비스 타입존, 대표 이미지, 서비스 개요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으로 이동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서비스 현황 > 📖 서비스 현황 조회
등록된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와 상태별 디바이스 개수 확인이 가능합니다.
각 상태 영역을 클릭하면 아래 ‘디바이스 현황’에서 해당 디바이스 정보가 표시됩니다.
- 디바이스 상태 항목 : 전제, 접속 양호, 접속 불가, 알수 없음
📘 NUBISON IoT 기능 설명
클라이언트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서비스 관리 > 📖 위치 그룹 관리
위치 그룹 상세 화면에서 위치 선택 버튼을 클릭하여 위치를 등록합니다.
위치 선택 버튼을 클릭하면 위치 선택 팝업이 나타납니다.
위치 선택 팝업에서 그룹에 포함시킬 위치 목록을 선택합니다.
선택한 위치를 위치 그룹에 적용하려면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선택된 위치가 등록된 위치에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치 그룹 정보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위치 그룹을 저장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제품모델 관리
‘제품 모델 구성’에서 기존 유닛의 세부 설정과 동작하는 형태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표에 유닛 유형 조합에 따른 현장모니터링(FMS) 요소 표시 유형을 정리하였습니다. 유닛을 수정하려면 아래의 표의 유닛 구성을 참조합니다.
* 유닛의 유형은 아래 카테고리에서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합니다.
IoT 관리 > 제품 모델 관리 > 제품 모델 상세 > 제품 모델 구성 > 유닛 추가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서비스 관리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알람
알람 리스트에서 해당 알람의 우측 상단에 읽음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알람이 읽음 처리가 되어 기존 리스트에서 사라집니다. 해당 알람을 다시 조회하고 싶다면 알람 리스트 하단의 읽은 알람 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읽은 알람 보기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람 리스트 하단의 확인한 알람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확인 알람 보기 리스트로 이동합니다.
확인한 알람 보기 리스트는 기존 알람 리스트와 다르게 흐리게 표시됩니다.
확인한 알람 보기 리스트에서 해당 알람의 우측 상단에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알람이 삭제 처리 되어 알람 리스트에서 삭제됩니다.
읽은 알람 리스트 하단의 미확인 알람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기본 알람 보기 리스트로 이동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서비스 관리 > 📖 서비스 설정
서비스 목록 화면에서 우측 상단의 ‘서비스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서비스 추가 팝업이 나타납니다.
서비스 추가 팝업에서 서비스 정보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비스가 추가되면 서비스 설정 화면으로 이동됩니다.
서비스 현황 화면 우측 상단에서 ‘서비스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서비스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비스 목록 화면에서 서비스 설정을 수정하고자 하는 서비스 우측 상단의 첫 번째 버튼(서비스 수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서비스 설정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제품모델 관리
제품 모델 관리에서 ‘제품 모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품 모델 추가 팝업창에서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를 입력하고 디바이스 유형을 'IoT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프로토콜을 선택 후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제품 모델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제품 모델 관리에서 ‘제품 모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품 모델 추가 팝업창에서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를 입력하고 디바이스 유형을 'Local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프로토콜을 선택 후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제품 모델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제품 모델 관리에서 ‘제품 모델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품 모델 추가 팝업창에서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를 입력하고 디바이스 유형을 'AI 디바이스'로 선택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제품 모델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제품모델 관리
제품 모델 구성 목록에서 삭제할 유닛을 선택하면 선택 삭제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선택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유닛 삭제 팝업이 나타나면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합니다.
단, 삭제한 유닛은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주의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서비스 관리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디바이스 관리
디바이스 관리에서 등록된 IoT 디바이스를 클릭합니다
IoT 디바이스를 클릭하면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를 볼 수 있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 관리에서 등록된 Local 디바이스를 클릭합니다.
Local 디바이스를 클릭하면 해당 Local 디바이스와 연결된 IoT 디바이스를 볼 수 있고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를 볼 수 있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 관리에서 등록된 AI 디바이스를 클릭합니다.
AI Local 디바이스를 클릭하면 해당 AI 구성 정보를 볼 수 있고 현재 디바이스의 상태를 볼 수 있고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IoT 규칙 관리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사용자 관리
클라이언트 우측 상단의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서비스 현황 > 📖 서비스 현황 조회
디바이스 현황 목록, 식별키, 마지막 데이터 수집 시간,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바이스 목록을 여러 기준으로 정렬 가능합니다.
(이름 오름차순, 이름 내림차순, 과거 등록순, 최신 등록순, 식별키 오름차순, 식별키 내림차순 등)
디바이스 이름, 식별키를 이용하여 특정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의 표시된 곳을 클릭하면 디바이스로부터 받는 데이터의 가장 최근의 수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사용자 관리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제품모델 관리
제품 모델 상세 화면에서 유닛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유닛을 추가합니다.
유닛 추가 팝업 화면에서 유닛 이름, 유닛 번호를 입력하시고 데이터 유형, 데이터 속성을 선택한 후에 데이터 단위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유닛이 추가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디바이스 관리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디바이스를 추가합니다.
디바이스 추가 팝업창에서 등록된 제품 모델 중 IoT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제품 모델을 선택하면 우측에 IoT 디바이스 정보가 나타납니다. 사용자 설정의 디바이스 이름, 식별정책을 선택한 후 식별키를 입력하고 ID Check를 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IoT 디바이스를 등록합니다.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디바이스를 추가합니다.
디바이스 추가 팝업창에서 등록된 제품 모델 중 Local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제품 모델을 선택하면 우측에 Local 디바이스 정보가 나타납니다. 사용자 설정의 디바이스 이름을 작성하고 IoT 디바이스를 선택한 후 식별키를 입력하고 ID Check를 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Local 디바이스를 등록합니다.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디바이스를 추가합니다.
디바이스 추가 팝업창에서 등록된 제품 모델 중 AI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제품 모델을 선택하면 우측에 AI 디바이스 정보가 나타납니다. 사용자 설정의 디바이스 이름, 식별정책을 선택한 후 식별키를 입력하고 ID Check를 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AI 디바이스를 등록합니다.
IoT 디바이스 추가가 완료됩니다. IoT 디바이스 좌측 하단에는 가 표시됩니다.
Local 디바이스 추가가 완료됩니다. Local 디바이스 좌측 하단에는 가 표시됩니다.
AI 디바이스 추가가 완료됩니다. AI 디바이스 좌측 하단에는가 표시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서비스 홈
서비스 로그인 화면에서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서비스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이름, 아이디, 이메일을 입력한 후 이용약관 확인 및 동의 후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합니다.
'회원가입'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한 메일로 비밀번호 설정 이메일이 전송됩니다.
이메일로 비밀번호 설정 메일을 받은 후 링크를 통해 비밀번호를 설정한 이후에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메일 내용에서 비밀번호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비밀번호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비밀번호를 알파벳, 숫자, 특수 문자를 8자리 이상 조합으로 설정하여 입력 합니다.
비밀번호 설정이 완료 후 서비스 회원 가입이 완료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IoT 규칙 관리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디바이스 관리
A.I 디바이스에 A.I 구성을 적용합니다.
적용 A.I 옆에 새 A.I 구성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A.I 구성을 만듭니다.
A.I 구성 만들기에서 데이터를 불러올 참조 디바이스를 선택 하기 위해 대상 선택을 클릭합니다.
적용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참조할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적용이 됩니다.
참조 대상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닫기를 누르면 적용이 완료됩니다.
선택한 디바이스가 참조 디바이스로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구간 시작 일시, 종료 일시, 데이터 시간 간격을 선택하고 데이터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데이터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원본 데이터가 나타납니다.
원본 데이터 우측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확대된 전체 원본 데이터 테이블을 볼 수 있습니다.
원본 데이터 위의 타깃 매핑 버튼을 클릭합니다.
타깃 매핑 설정 팝업창 에서 타깃 이름을 입력하고 엔터를 클릭하면 타깃이 추가됩니다.
원본 데이터의 표 안의 Target > AI > insertRowData > Value 를 선택해줍니다.
원본 데이터의 표 안의 항목 > AI > insertRowData > Value나 Slope 중 선택하여 적용합니다.
(value = 값, slope = 변화율)
타겟을 매핑하면 아래와 같이 학습 데이터가 나타납니다.
데이터 학습 설정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알고리즘 선택 및 세부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학습 평가 횟수를 선택하고 평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선택한 횟수만큼 평가를 시뮬레이션하여 평가결과 도출이 가능합니다.
A.I 구성 적용을 위해 A.I 구성 이름을 입력합니다.
A.I 구성 적용 안내 팝업이 나타나면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A.I 구성을 적용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IoT 규칙 관리
특정 제품모델 전체의 디바이스에 규칙을 일괄 적용하고자 한다면 적용대상을 [제품모델 전체]로 선택합니다.
먼저 IoT 규칙 관리 화면에서 새 규칙 추가를 클릭하여 규칙을 추가합니다.
규칙 그룹 추가 팝업 화면에서 그룹 이름을 입력하고 적용 대상 선택을 제품 모델 전체로 선택하고 제품 모델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규칙 정보 상세 화면으로 넘어가면서 규칙이 추가됩니다.
특정 디바이스에 규칙을 적용하고자 한다면 적용대상을 [특정 디바이스]로 선택합니다.
먼저 IoT 규칙 관리 화면에서 새 규칙 추가를 클릭하여 규칙을 추가합니다.
규칙 그룹 추가 팝업 화면에서 그룹 이름을 입력하고 적용 대상 선택을 특정 디바이스 선택하고 제품 모델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 합니다.
주의 : 하나의 디바이스는 한 가지의 규칙만 적용됩니다.
예를들어 제품모델 전체 규칙과 특정 디바이스 규칙이 모두 설정 되었다면 이 디바이스에는 특정 디바이스 규칙만 적용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바로 규칙 정보 상세 화면으로 넘어가면서 규칙이 추가됩니다.
자세한 정보는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 IoT 규칙 관리
IoT 규칙 관리 화면에서 작업을 추가할 조건으로 '이메일 보내기'를 선택하여 작업을 추가합니다.
추가된 입력창에 메일 제목, 받는 사람, 메일 내용을 입력하고 규칙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조건의 작업을 추가합니다.
IoT 규칙 관리 화면에서 작업을 추가할 조건으로 'SMS 보내기'를 선택하여 작업을 추가합니다.
추가된 입력창에 받는 사람과 메시지 내용을 입력한 후 규칙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조건의 작업을 추가합니다.
IoT 규칙 관리 화면에서 작업을 추가할 조건으로 '제어명령 보내기'를 선택하여 작업을 추가합니다.
추가된 입력창에 제품모델, 디바이스, 유닛을 선택하고 제어 명령어를 입력한 후 규칙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조건의 작업을 추가합니다.
IoT 규칙 관리 화면에서 작업을 추가할 조건으로 '알람 보내기'를 선택하여 작업을 추가합니다.
추가된 입력창에 알림 유형, 제목, 수신자를 선택하고 알람 내용 입력한 후 규칙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조건의 작업을 추가합니다.
IoT 규칙 관리 화면에서 작업을 추가할 조건으로 '외부서버 호출하기'를 선택하여 작업을 추가합니다.
서버 주소: 요청을 보낼 서버 URL입니다.
HTTP Method: 요청 HTTP Method를 선택합니다. POST, PATCH, PUT, DELETE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Header: 요청 헤더를 키/값 쌍으로 정의합니다.
Body 또는 Param: 요청 서버 규약에 맞게 payload를 구성합니다.Body 데이터는 다음의 3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raw(JSON): payload를 JSON 형태로 구성하여 보냅니다. Content-type 헤터 값이 application/json으로 설정됩니다.
form-data: payload를 form data 형태로 구성하여 보냅니다. Content-type 헤터 값이 multipart/formdata로 설정됩니다.
x-www-form-urlencoded: payload를 querystring으로 구성하여 보냅니다. key/value 짝은 &로 구분되고 key와 value는 =로 구분됩니다. Content-type 헤터 값이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으로 설정됩니다.
Param은 payload를 querystring으로 구성하여 보냅니다. key/value 짝은 &로 구분되고 key와 value는 =로 구분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데이터 뷰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서비스 홈
Case 1. 좌측 메뉴를 열어 가장 상단의 서비스 이름이 표시된 메뉴를 클릭합니다.
Case 2. [서비스 관리 > 서비스 설정] 페이지에서 좌측 하단 '서비스 홈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 합니다.
관리자로 부터 부여 받은 서비스 홈 URL을 인터넷 브라우저 주소 창에 입력하여 접속 합니다.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서비스 로그인을 합니다.
서비스 메인 화면에서 확장 패키지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데이터 뷰 > 📖 데이터 차트 조회
조회 조건 선택, 데이터 형식, 디바이스 선택, 유닛 선택, 차트 추가, 조회 기간을 선택한 후 ‘데이터 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디바이스 선택‘에서 디바이스가 선택되어야 유닛 선택이 활성화 됩니다.
유닛은 모든 유닛을 선택하거나 원하는 유닛을 선별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유닛을 선택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유닛별 차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조회할 유닛별 데이터 차트 종류는 아래와 같이 선택하여 변경이 가능합니다.
(차트 종류 : 꺾인 선, 스플라인, 스플라인 영역, 막대)
화면 하단의 ’데이터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 차트 영역에 데이터가 그래프로 표시됩니다.
데이터 차트의 색상 변경은 아래와 같이 해당 색상을 클릭하면 변경 가능합니다.
’데이터 형식‘이 ’통계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는 ’데이터 뷰‘ 옵션에서 ’통계 유형‘과 ’데이터 간격‘이 추가되며 설정값 조정이 가능합니다.
조회 조건 선택, 데이터 형식, 통계 유형, 데이터 간격, 디바이스 선텍, 유닛 선택, 차트 추가, 조회 기간을 선택한 후 ‘데이터 보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대시보드 메이커
서비스 로그인 기본 방법은 위 링크를 참조합니다.
서비스 메인 화면에서 대시보드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데이터 뷰 > 📖 데이터 차트 조회
데이터 차트 상단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Save as JPEG 버튼을 클릭하여 JPEG파일로 저장합니다.
Save as PNG 버튼을 클릭하여 PNG파일로 저장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대시보드 메이커
서비스 관리의 '확장 패키지 설정' 에서 대시보드 메이커 를 등록한 후 로그인한 서비스 화면에서 화면 추가 및 요소를 추가하여 대시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화면 중앙이나 오른쪽 상단에서 '화면 편집' 버튼을 클릭하여 화면을 등록합니다.
추가된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납니다.
위젯의 목적에 맞게 '위젯명'과 '위젯유형(최신데이터, 데이터차트, 데이터 테이블, 바로가기, 알람, 정보)'을 설정합니다.
추가된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나며, '위젯유형에서 '최신데이터' 를 찾아 선택합니다.
위젯명에 원하는 명칭을 기재합니다.
'갱신주기'(5초, 10초, 1분, 30분, 1시간 등)의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디바이스'에서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선택합니다.
'유닛형'(온도, 습도, 밝기, 위도, 경도, 배터리 전압 등)에서 원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위젯 선택을 완료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편집완료' 버튼을 눌러 위젯 추가를 완료합니다.
추가된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나며, '위젯유형에서 '데이터 차트' 를 찾아 선택합니다.
위젯명에 원하는 명칭을 기재합니다.
'조회기간'(최근 5초, 최근 10초, 최근 30초, 최근 1분, 최근 10분, 최근 30분, 최근 1시간 등)의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갱신주기'(5초, 10초, 1분, 10분, 30분, 1시간 등)의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디바이스'에서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선택합니다.
'유닛'(온도, 습도, 밝기, 위도, 경도, 배터리 전압 등)에서 원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위젯 선택을 완료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편집완료' 버튼을 눌러 위젯 추가를 완료합니다.
추가된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나며, '위젯유형에서 '데이터 테이블' 을 찾아 선택합니다.
위젯명에 원하는 명칭을 기재합니다.
'조회기간'(최근 5초, 최근 10초, 최근 30초, 최근 1분, 최근 10분, 최근 30분, 최근 1시간 등)의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디바이스'에서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선택합니다.
'유닛'(온도, 습도, 밝기 등)에서 원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위젯 선택을 완료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편집완료' 버튼을 눌러 위젯 추가를 완료합니다.
추가된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나며, 위젯유형에서 '바로가기' 를 찾아 선택합니다.
위젯명에 원하는 명칭을 기재합니다.
'메뉴'(데이터 뷰, 광역 모니터링, 현장 모니터링, A.I 모니터링, 디바이스 모니터링 등)의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이동방식'(새창으로 열기, 현재창에서 열기 등)에서 원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위젯 선택을 완료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편집완료' 버튼을 눌러 위젯 추가를 완료합니다.
추가된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나며, 위젯유형에서 '알람' 을 찾아 선택합니다.
위젯명에 원하는 명칭을 기재합니다.
'디바이스'에서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선택합니다. 위젯 선택을 완료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편집완료' 버튼을 눌러 위젯 추가를 완료합니다.
추가된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나며, 위젯유형에서 '정보' 를 찾아 선택합니다.
위젯명에 원하는 명칭을 기재합니다.
'표시정보'(디바이스수, 사용자수, 위치 등)에서 원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합니다. 위젯 선택을 완료하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편집완료' 버튼을 눌러 위젯 추가를 완료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대시보드 메이커
생성된 위젯의 속성을 추가하거나 편집이 필요한 경우에는 화면 상단 우측 '화면 편집' 버튼을 클릭하면 편집모드로 화면이 변경됩니다.
화면의 위젯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위젯속성' 메뉴가 나타나며, 위젯유형부터 상세 부분까지 펼침 메뉴를 이용하여 내용 변경이 가능합니다.
위젯 속성 편집이 완료되었다면 화면 상단의 '편집 완료'를 클릭하여 편집을 완료합니다.
위젯의 일반메뉴(위젯유형, 조회기간, 갱신주기 등)는 펼침 구조로 되어 있어 원하는 값을 선택하고 화면 상단의 '편집완료'를 클릭하면 속성이 변경됩니다.
위젯의 상세메뉴(디바이스, 유닛 등)는 펼침 구조로 되어 있어 원하는 값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위젯의 상세메뉴는 디바이스 종류(장비, GPS 등) 에 따라 유닛의 펼침 내용이 다릅니다.
장비일 경우, 유닛 종류는 온도, 습도, 밝기이며, GPS일 경우 유닛 종류는 위도, 경도, 배터리 전압입니다.
유닛에서 표현할 대상(온도, 습도, 밝기, 위도, 경도, 배터리 전압 등)을 선택하고 바로 우측의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유닛을 차트로 표현할 차트유형(스플라인, 스플라인 영역, 꺾인 선, 꺾인 선 영역, 스텝 라인, 막대 등), 차트축(주축, 보조축 등), 차트 색상을 선택합니다.
위젯유형이 데이터차트일 경우 유닛은 최대 5개까지 등록이 가능합니다.
위젯유형이 데이터테이블일 경우 유닛은 디바이스와 유닛의 조합 수만큼 등록이 가능합니다.
유닛 속성 편집이 완료되었다면 화면 상단의 '편집 완료'를 클릭하여 편집을 완료합니다.
유닛의 삭제는 유닛의 우측 상단에 있는 휴지통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 문의 팝업창이 나옵니다. 삭제를 원할경우는 '확인'을 선택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편집 완료'를 클릭하면 삭제된 사항이 적용 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화면 편집'을 클릭합니다.
삭제하고자 하는 위젯의 우측 상단에 있는 휴지통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 문의 팝업창이 나옵니다. 삭제를 원할경우는 '확인'을 선택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편집 완료'를 클릭하면 삭제된 사항이 적용 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화면 편집'을 클릭합니다.
이동하려는 위젯을 마우스로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로 이동하고자 하는 곳으로 옮겨 놓고 마우스 버튼 클릭을 해제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편집 완료'를 클릭하면 변경된 사항이 적용 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화면 편집'을 클릭합니다.
위젯의 테두리 부분으로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양쪽 화살표 모양으로 바뀝니다.
바뀐 마우스 커서를 조절하고자 하는 위젯의 테두리 위치에 가져갑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원하는 크기로 조절하고 마우스 버튼 클릭을 해제합니다.
화면 우측 상단의 '편집 완료'를 클릭하면 변경된 사항이 적용 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데이터 뷰 > 📖 데이터 차트 조회
데이터 차트 상단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PRINT 버튼을 클릭하여 프린트 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데이터 뷰 > 📖 데이터 차트 조회
조회 기간은 일자와 시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일자 단위 지정] : 오늘, 어제, 최근 3일, 최근 7일, 이번 달, 지난 달
[달력에서 지정] : 달력 항목에서 시작일을 먼저 클릭하고 종료일을 클릭하면 기간이 지정됩니다.
[시간 지정] : 달력 항목 아래의 좌측 시간은 시작일의 시작 시간을, 우측 시간은 종료일의 종료 시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조회기간의 일정과 세부 시간 지정이 끝났다면 ’적용‘ 버튼을 클릭하고 완료합니다.
화면의 을 클릭하고 새로운 위젯을 추가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NUBISON IoT 기능 설명 > 📖 IoT 관리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현장 모니터링에 화면이 등록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화면 상단 톱니바퀴 모양(모니터링 화면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화면 우측의 ‘요소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요소를 추가합니다.
디바이스와 유닛을 선택하고, 요소 이름을 작성하고 표시 유형을 선택한 후에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요소를 추가합니다.
요소 추가가 완료됩니다. 추가된 요소를 클릭하여 설정한 내용을 확인합니다.
* 요소의 표시 유형은 아래 카테고리에서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합니다.
IoT 관리 > 제품 모델 관리 > 제품 모델 상세 > 제품 모델 구성 > ‘유닛 추가’ or ‘유닛 수정’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요소 박스와 파란 좌표 버튼을 드래그 하여 요소의 레이아웃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상단 톱니바퀴 모양(모니터링 화면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편집하고자 하는 해당 요소를 클릭하면 설정 버튼과 삭제 버튼이 나타납니다.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요소의 상세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조정을 완료한 후에 상단의 초록색 체크 버튼을 클릭하면 편집모드가 완료됩니다.
상단의 돋보기 옆의 바를 좌우로 이동하여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상단바 우측의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현장 모니터링의 실시간 데이터로 업데이트 해줍니다.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사이트를 이용하면 투명한 png 이미지가 제작가능합니다.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디바이스 모니터링 시스템 > 📖 DMS 관리자 기능
제품 관리 리스트에서 설정을 원하는 제품을 클릭합니다.
제품 관리 설정 페이지에 들어오면 기본 이미지가 보여집니다. 기본이미지는 누비슨 IoT의 제품모델 관리에 등록되어진 이미지로 본 화면에서는 수정 및 삭제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기본 이미지 외 추가로 9개의 이미지 파일이 등록 가능하며 ‘이미지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이미지 추가 팝업창이 나타납니다.
이미지추가 아이콘을 클릭하여 이미지를 선택해 등록 후 이미지 제목을 작성합니다.
이미지를 추가하여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 아이콘을 클릭해 추가합니다.
이미지는 기본이미지를 포함하여 총 10개의 이미지가 관리 가능합니다.
추가할 이미지 항목을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 아이콘을 클릭해 삭제합니다.
추가된 이미지를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하단의 이미지 썸네일 위에 X 아이콘을 클릭해 삭제합니다. 제품의 기본 이미지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순서 편집 버튼을 클릭하여 이미지 순서 변경 모드를 활성화 시킵니다.
이미지를 드래그하여 순서를 정렬한 후 ‘편집 완료’ 버튼을 클릭하여 순서 변경 모드에서 빠져 나오면 순서 변경이 완료됩니다.
제품 관리 설정 페이지에서 코드관리, 원격진단, 로그관리 기능을 on/off 하여 설정 가능합니다.
이 기능 설정을 통해 이 제품 모델의 실시간 관리 화면에서 수행 가능한 코드관리, 원격진단, 로그관리 기능이 활성 또는 비활성 됩니다.
코드관리 기능 사용시 사용할 코드그룹을 선택합니다.
원격진단 기능 사용시 제품에 따라 진단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최대 예상 소요시간 설정이 필요 합니다.
로그관리 기능 사용시 사용할 로그타입을 선택합니다.
설정 완료 후 '설정 정보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 NUBISON IoT 기능 설명
📘 NUBISON IoT 확장 패키지 > 📖 데이터 뷰 > 📖 데이터 차트 조회
차트 옵션에 따라 다른 데이터 차트로 표시됩니다.
(차트 종류 : 꺾인 선, 스플라인, 스플라인 영역, 막대)